반응형
고양경제자유구역 최종 지정을 앞두고 관련 업계의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11일 고양특례시에 따르면 경기북부 최초로 고양 JDS(장항·대화·송산·송포동)지구 약 940만 평 부지가 경제자유구역 후보지로 선정된 가운데, 최종 지정을 10개월 앞둔 현재 시청으로 국내외 기업들의 문의 전화가 연일 쇄도하고 있다.
대한민국 경제자유구역은 외국인 투자기업의 경영환경과 생활 여건을 개선하고, 각종 규제완화를 통해 외국인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기 위한 특별경제구역을 뜻한다. 2003년 인천을 시작으로 부산·진해, 광양만권, 경기, 인천, 대구·경북, 충북, 동해안권, 광주, 울산 등 총 9곳이 조성돼 운영되고 있다.
2020년 말 기준 경제자유구역의 외국인직접투자 규모는 192억 달러로, GE와 BMW 등 글로벌 기업을 포함해 국내외 6천140개의 기업이 진출해 있다.
국내외 기업 및 연구기관 등이 경제자유구역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세제감면 등 혜택이 많아서다. 경제자유구역 내 외국인투자기업은 세제 혜택은 물론 규제 특례까지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국세의 경우 수입자본재에 대한 관세를 5년간 100%를 면제받을 수 있고, 지방세(취득세 및 재산세)의 경우 최장 15년간 전액을 감면받을 수 있다. 아울러 국공유지 임대료 감면, 도로 등 기반시설 지원, 노동규제 완화 등의 혜택을 부여받고 수도권정비계획법상 적용 대상에서도 빠지면서 사업 추진이 수월해진다.
경기도에서는 고양시와 안산시가 경기경제자유구역 추가지정 후보지로 올라 있다. 2022년 말 추가지정 후보지로 선정된 고양시는 지난해 5월 개발계획 수립 연구용역에 착수한 뒤 올해 10월 최종 지정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스마트 모빌리티, 바이오, 디지털 방송문화, 마이스, 반도체 등 5대 첨단 전략산업 육성을 목표로 내세우고 있는 이동환 고양시장은 국내외 기업과 대학, 연구소 등을 직접 찾아다니며 협력네트워크를 강화하고 투자수요를 확보하는데 사활을 걸고 있다.
경제자유구역 지정 여부를 결정하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선수요-후지정’ 원칙을 기조로 투자수요 확보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10일 기준 시가 고양경제자유구역 관련해 확보한 투자의향서는 52건(2조1천억 원), 업무협약서는 28건이다.
인구 108만의 특례시임에도 각종 중첩규제로 산업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고양시가 경제자유구역 지정으로 재정건전성을 확보하며 자족도시로 거듭날 수 있을지 주목되는 대목이다.
시 관계자는 "주택공급 위주의 도시개발 정책과 수도권정비법 등 중첩된 규제로 인해 부족해진 일자리와 산업시설을 확보하기 위해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절실하다"며 "경제자유구역 최종 지정과 성공적 운영을 위해 투자수요확보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http://www.joongboo.com)
반응형
'지역소식(고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지대 움직임에 여야 셈법 복잡 (0) | 2024.01.18 |
---|---|
‘청렴도 하위’ 고양시의회 "빠른 시일 내 개선책 모색" (1) | 2024.01.14 |
[신년 인터뷰] 김영식 고양특례시의회 의장 "삶과 밀접한 다양한 사업 추진할 것" (1) | 2024.01.13 |
[신년인터뷰]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경자구역·수도권 30분 시대 열어 글로벌 경제특례시로 힘차게 도약" (1) | 2024.01.13 |
고양 창릉신도시 첫 필지 공급 '모두 유찰'… 택지공급 ‘빨간불’ (0) | 2023.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