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업용 부동산은 실거주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주거용과 달리 대부분 투자 상품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시장경기에 매우 민감하다.
그런데 최근 기준금리 인상 등 가격이나 거래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시장 변수들이 대부분 부정적 수치를 보이고 있어, 당분간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상업용의 경우 기업 간 거래가 중심이 되는 프라임급 오피스나 대형 호텔 외에도 개인 간 거래가 중심이 되는 상가, 오피스텔, 중소형빌딩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이번 호에서는 KB경영연구소가 내놓은 ‘2019 KB 부동산 보고서’를 바탕으로 수도권 내 오피스텔과, 소위 꼬마빌딩으로 불리는 소규모 빌딩의 향후 시장 상황을 분석해봤다.
.
.
.
수도권 오피스텔의 평균 거래가는 매년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11월 기준 서울의 오피스텔 평균가격은 약 2억5,000만원으로 2년 전에 비해 약 8.9% 상승했고, 경기와 인천 역시 소폭 상승했다.
이러한 평균 거래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임대수익률은 매년 하락하는 추세다.
수도권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은 지난해 11월을 기점으로 서울은 4.65%, 경기는 5.16%, 인천은 6.23%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KB국민은행 오피스텔 조사가 시작된 2010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반응형
'부동산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점 주의) 신혼부부 특별공급 2배 확대...9억원 초과주택 특공 제외 (0) | 2019.02.26 |
---|---|
2월 마지막 주, 평촌래미안푸르지오 등 전국 5,144가구 분양 (0) | 2019.02.25 |
버티는 다주택자 벼랑 끝 내모는 세법령 개정안 (0) | 2019.02.20 |
종부세↑‧신혼부부 취득세↓...올해 달라지는 부동산 제도 (0) | 2019.02.19 |
2월 셋째 주, ‘검단센트럴푸르지오’ 등 전국 3205가구 분양 (0) | 2019.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