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양시 일산동구 고봉동에 혐오·기피시설로 인식되는 하수처리장이 들어서 있음에도, 정작 해당 지역주민 10명 중 3명은 이용조차 못하면서 불편함만 감수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고양시의회 고덕희 의원은 지난 18일 열린 제280회 임시회에서 "벽제수질복원센터는 누구를 위한 곳이냐"며 "고봉동 28% 주민은 여전히 정화조를 쓰면서 불편을 감수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공공하수처리시설인 수질복원센터는 오수를 모아 정화한 후 강이나 바다로 방류하는 하수도 시설 중 하나다.
고 의원이 지적한 벽제수질복원센터는 고양시 내 4곳의 수질복원센터 중 1곳으로 2007년 4월 부지면적 2만9천887㎡, 1일 하수 처리 용량 3만톤 규모로 준공됐다. 이후 2017년 11월 2단계 준공, 2020년 1단계 증설 준공 등을 거쳐 현재 시설용량은 1일 3만9천200톤으로 가동률은 94%다.
그럼에도 해당 수질복원센터의 처리 구역 중 한 곳인 고봉동은 여전히 정화조를 사용하는 세대가 많다. 실제 고봉동의 개인하수처리시설 현황을 보면, 전체 4천442세대 중 28%인 1천229세대가 오수처리시설이 아닌 정화조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고양시는 하수처리장 건설 당시 미래 수요를 예측하지 못해 생긴 문제라는 입장이다.
고양시 관계자는 "해당 지역에 하수처리장이 건립된 이후 많은 소규모 도시개발이 이뤄졌다"며 "건립 당시 계획에 없던 개발로 인해 생긴 곳이 하수 처리가 되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하수처리장을 증설하려면 기본계획 수립부터 관련 인허가까지 최소 5년 이상 걸리기 때문에 개발 계획에 맞춰 처리하기가 어렵다"면서도 "현재 환경부와 협의를 통해 2028년까지 약 9천톤 정도 증설이 가능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출처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http://www.joongboo.com)
반응형
'지역소식(고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년인터뷰]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경자구역·수도권 30분 시대 열어 글로벌 경제특례시로 힘차게 도약" (1) | 2024.01.13 |
---|---|
고양 창릉신도시 첫 필지 공급 '모두 유찰'… 택지공급 ‘빨간불’ (0) | 2023.12.29 |
고양시의회 "시, 합법 노점 관리 부실… 개선 필요하다" (2) | 2023.12.23 |
서누리 변호사, 민주당 '고양을' 출마 공식 선언… "尹정권 폭정 멈출 적임자" (1) | 2023.12.23 |
[우리동네 누가뛰나-고양정] 부동산에 민감한 일산... 이용우·김현아 재대결 갈까 (1) | 2023.12.15 |